제 83회 대비 매경TEST 시사경제용어 안내
안녕하세요, 배움자격증센터입니다!제 83회 대비 매경TEST 시사경제용어를 안내드립니다.<table class="__se_tbl_ext" border="0" cellpadding="0" cellspacing="0" width="1069" style="border-collapse: collapse;width:802pt"> NO.용어의미1<td class="xl69" width="131" style="height:40.5pt; font-size:10.0pt; font-weight:700; text-align:center; border:1px solid windowtext; white-space:normal; border-top:none;border-left:none;width:98pt">스트레스 테스트 [Stress Test]<td class="xl70" width="866" style="height:40.5pt; font-size:10.0pt; vertical-align:top; border-top:1px solid windowtext; border-right:1.0pt solid windowtext; border-bottom:1px solid windowtext; border-left:none; white-space:normal; border-top:none;width:650pt">‘금융시스템 스트레스 테스트’의 준말로 <font class="font7" style="color:red; font-size:10.0pt; font-weight:400; font-style:normal; text-decoration:none; font-family:'맑은 고딕', monospace; mso-font-charset:129;">예외적이긴 하지만 실현 가능성이 있는 사건에 대하여 금융시스템의 잠재적 취약성을 측정함으로써 금융시스템의 안정성을 평가하는 것<font class="font6" style="color:black; font-size:10.0pt; font-weight:400; font-style:normal; text-decoration:none; font-family:'맑은 고딕', monospace; mso-font-charset:129;">으로 생산, 환율 등과 같은 특정 거시경제변수의 급격한 변동을 가정하고 이러한 상황에 대하여 금융시스템이 얼마나 안정적일 수 있는지를 측정해보는 것이다.2<td class="xl69" width="131" style="height:67.5pt; font-size:10.0pt; font-weight:700; text-align:center; border:1px solid windowtext; white-space:normal; border-top:none;border-left:none;width:98pt">스테이블 코인 [Stable Coin]<td class="xl70" width="866" style="height:67.5pt; font-size:10.0pt; vertical-align:top; border-top:1px solid windowtext; border-right:1.0pt solid windowtext; border-bottom:1px solid windowtext; border-left:none; white-space:normal; border-top:none;width:650pt">스테이블 코인은 '안정된 코인'이라는 뜻으로,<font class="font7" style="color:red; font-size:10.0pt; font-weight:400; font-style:normal; text-decoration:none; font-family:'맑은 고딕', monospace; mso-font-charset:129;"> 변동성을 줄이기 위해 가치를 일정하게 고정시킨 가상화폐<font class="font6" style="color:black; font-size:10.0pt; font-weight:400; font-style:normal; text-decoration:none; font-family:'맑은 고딕', monospace; mso-font-charset:129;">를 말한다. 스테이블 코인은 가치를 고정시키기 위해 달러와 같은 기존 법정화폐에 코인을 연동하는 방법을 사용하는데, 이러한 과정을 페깅(pegging)이라고 한다. 에를 들면 1코인당 1달러의 가치를 가지도록 고정할 수 있으며, 페깅을 하는 방법은 크게 3가지로 나뉜다. 스테이블 코인의 가치를 법정화폐나 가상화폐로 담보하는 방식, 또는 담보를 맡기지 않고 알고리즘을 통해 코인의 가치를 고정시키는 방식이 있다. 법정화폐와 가상화폐의 담보는 발행한 코인의 가치만큼 법정화폐나 가상화폐를 보유하는 방식이며, 알고리즘을 통해 페깅을 하는 코인으로는 최근 대폭락 사태를 겪은 테라가 있다.3<td class="xl69" width="131" style="height:54.0pt; font-size:10.0pt; font-weight:700; text-align:center; border:1px solid windowtext; white-space:normal; border-top:none;border-left:none;width:98pt">GPI [Genuine Progress Indicator]<td class="xl70" width="866" style="height:54.0pt; font-size:10.0pt; vertical-align:top; border-top:1px solid windowtext; border-right:1.0pt solid windowtext; border-bottom:1px solid windowtext; border-left:none; white-space:normal; border-top:none;width:650pt"><font class="font7" style="color:red; font-size:10.0pt; font-weight:400; font-style:normal; text-decoration:none; font-family:'맑은 고딕', monospace; mso-font-charset:129;">GNP, GDP 등의 대안으로 등장한 지표로, 인간과 사회에 이로움을 주는 시장 외 활동과 환경오염 등의 항목을 포함시켜 측정<font class="font6" style="color:black; font-size:10.0pt; font-weight:400; font-style:normal; text-decoration:none; font-family:'맑은 고딕', monospace; mso-font-charset:129;">한다. 국가발전의 척도로 주로 이용되는 GNP(국민총생산), GDP(국내총생산) 등의 경제성장 지표는 국민 삶의 질과 실제비용(환경비용, 안전비용 등)을 제대로 반영할 수 없다는 문제의식에서 등장한 새로운 지표로, GPI란 참진보지수(GPI; Genuine Progress Indicator)라는 의미이다. GPI는 GDP 지표 등이 무시하고 있는 환경, 그리고 인간과 사회에 실질적인 이로움을 주는 활동들을 포함시켜 한 국가의 복지를 경제적 관점에서 측정한다.4<td class="xl69" width="131" style="height:54.0pt; font-size:10.0pt; font-weight:700; text-align:center; border:1px solid windowtext; white-space:normal; border-top:none;border-left:none;width:98pt">스튜어드십 코드 [Stewardship Code]<td class="xl70" width="866" style="height:54.0pt; font-size:10.0pt; vertical-align:top; border-top:1px solid windowtext; border-right:1.0pt solid windowtext; border-bottom:1px solid windowtext; border-left:none; white-space:normal; border-top:none;width:650pt"><font class="font7" style="color:red; font-size:10.0pt; font-weight:400; font-style:normal; text-decoration:none; font-family:'맑은 고딕', monospace; mso-font-charset:129;">기관투자가가 배당, 시세 등 단순한 투자에 그치지 않고 기업의 의사결정에 참여하는 준칙<font class="font6" style="color:black; font-size:10.0pt; font-weight:400; font-style:normal; text-decoration:none; font-family:'맑은 고딕', monospace; mso-font-charset:129;">을 말한다. 스튜어드십 코드는 국민연금 등 기관투자가의 주주총회 의결권 행사 지침을 제시해 책임 있는 투자를 끌어내도록 하는 기관투자가의 주주권 행사 준칙이다. 이것은 기관투자가가 배당, 시세차익에 대한 관심에서 그치지 않고 기업의 의사결정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도록 해 기업의 지배구조 개선이나 투명성 제고의 좋은 수단이 된다. 스튜어드십 코드는 법적인 강제력은 없지만 각 기관이 준수하지 못하면 이유를 설명토록 해 사실상 강제력을 가진다고 할 수 있다.5탄소국경세<td class="xl70" width="866" style="height:40.5pt; font-size:10.0pt; vertical-align:top; border-top:1px solid windowtext; border-right:1.0pt solid windowtext; border-bottom:1px solid windowtext; border-left:none; white-space:normal; border-top:none;width:650pt"><font class="font7" style="color:red; font-size:10.0pt; font-weight:400; font-style:normal; text-decoration:none; font-family:'맑은 고딕', monospace; mso-font-charset:129;">탄소국경세는 이산화탄소 배출 규제가 약한 국가가 강한 국가에 상품·서비스를 수출할 때 적용받는 무역 관세<font class="font6" style="color:black; font-size:10.0pt; font-weight:400; font-style:normal; text-decoration:none; font-family:'맑은 고딕', monospace; mso-font-charset:129;">로, 탄소의 이동에 관세를 부과하는 조치를 말한다. 즉, 수입품을 대상으로 해당 상품을 생산하는 과정에서 배출된 탄소량을 따져 비용을 부과하는 것으로, 사실상의 추가 관세라 할 수 있다. 이는 미국 조 바이든 행정부와 유럽연합(EU)이 주도적으로 추진하는 새로운 관세 형태이다.6CAPM<td class="xl72" width="866" style="height:40.5pt; font-size:10.0pt; border-top:1px solid windowtext; border-right:1.0pt solid windowtext; border-bottom:1px solid windowtext; border-left:none; white-space:normal; border-top:none;width:650pt"><font class="font7" style="color:red; font-size:10.0pt; font-weight:400; font-style:normal; text-decoration:none; font-family:'맑은 고딕', monospace; mso-font-charset:129;">자본자산 가격결정 모형(Capital Asset Pricing Model)의 약자로 주식이나 채권 등의 자본자산들의 기대수익률과 위험과의 관계를 도출해내는 모형<font class="font6" style="color:black; font-size:10.0pt; font-weight:400; font-style:normal; text-decoration:none; font-family:'맑은 고딕', monospace; mso-font-charset:129;">이다. 즉, 투자자들이 투자활동을 해서 시장이 균형상태에 있을 때, 주식이나 채권 등의 자본자산의 균형가격이 어떻게 결정되는지를 설명해주는 모형이라 할 수 있다.7NPV, IRR<td class="xl74" width="866" style="height:67.5pt; font-size:10.0pt; border-top:none; border-right:1.0pt solid windowtext; border-bottom:none; border-left:none; white-space:normal; width:650pt"><font class="font7" style="color:red; font-size:10.0pt; font-weight:400; font-style:normal; text-decoration:none; font-family:'맑은 고딕', monospace; mso-font-charset:129;">NPV는 순현재가치(Net Present Value)<font class="font6" style="color:black; font-size:10.0pt; font-weight:400; font-style:normal; text-decoration:none; font-family:'맑은 고딕', monospace; mso-font-charset:129;">를 말하며, 줄여서 '순현가' 라고도 한다. 어떤 사업의 가치를 나타내는 척도 중의 하나로 최초 투자 시기부터 사업이 끝나는 시기까지의 연도별 순편익의 흐름을 각각 현재 가치로 환산한 것이다. 즉, 순현재가치란 투자안에서 발생하는 '현금유입의 현재가치'에서 '현금유출의 현재가치'를 차감한 값이다. 그 순현재가치가 0보다 크면 일단 그 대안(사업)은 채택 가능한 것으로 판단해 볼 수 있다. 한편 '내부수익률'이라고 부르는 <font class="font7" style="color:red; font-size:10.0pt; font-weight:400; font-style:normal; text-decoration:none; font-family:'맑은 고딕', monospace; mso-font-charset:129;">IRR(Internal Rate of Return)은 투자안에서 발생하는 '현금유입의 현재가치'와 '현금유출의 현재가치'를 같게 하는 할인율<font class="font6" style="color:black; font-size:10.0pt; font-weight:400; font-style:normal; text-decoration:none; font-family:'맑은 고딕', monospace; mso-font-charset:129;">, 즉 투자안의 순현재가치를 0으로 만드는 할인율을 말한다.8S,D,R.의 공포<td class="xl70" width="866" style="height:54.0pt; font-size:10.0pt; vertical-align:top; border-top:1px solid windowtext; border-right:1.0pt solid windowtext; border-bottom:1px solid windowtext; border-left:none; white-space:normal; width:650pt">S의 공포의 S는 경제침체를 뜻하는 스태그네이션(Stagnation)과 물가상승을 뜻하는 인플레이션(Inflation)을 합성한 <font class="font7" style="color:red; font-size:10.0pt; font-weight:400; font-style:normal; text-decoration:none; font-family:'맑은 고딕', monospace; mso-font-charset:129;">스태그플레이션(Stagflation)<font class="font6" style="color:black; font-size:10.0pt; font-weight:400; font-style:normal; text-decoration:none; font-family:'맑은 고딕', monospace; mso-font-charset:129;">의 약자이고, D의 공포의 D는 <font class="font7" style="color:red; font-size:10.0pt; font-weight:400; font-style:normal; text-decoration:none; font-family:'맑은 고딕', monospace; mso-font-charset:129;">디플레이션(Deflation)<font class="font6" style="color:black; font-size:10.0pt; font-weight:400; font-style:normal; text-decoration:none; font-family:'맑은 고딕', monospace; mso-font-charset:129;">의 약자이다. 디플레이션은 경제 전반적으로 상품과 서비스의 가격이 지속적으로 하락하는 현상을 말한다. D의 공포에서 경제 상황이 더욱 악화 되면 R의 공포에 빠지게 된다. R의 공포란 <font class="font7" style="color:red; font-size:10.0pt; font-weight:400; font-style:normal; text-decoration:none; font-family:'맑은 고딕', monospace; mso-font-charset:129;">경기침체(Recession)<font class="font6" style="color:black; font-size:10.0pt; font-weight:400; font-style:normal; text-decoration:none; font-family:'맑은 고딕', monospace; mso-font-charset:129;">의 약자로 장기 불황에 빠질 수 있다는 공포를 말할 때 쓰인다. 전문가들은 한국의 경우 S의 공포가 향후 D, R의 공포로 이어질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9안전운임제<td class="xl77" width="866" style="height:54.75pt; font-size:10.0pt; border-top:none; border-right:1.0pt solid windowtext; border-bottom:1.0pt solid windowtext; border-left:none; white-space:normal; width:650pt">화물운송 종사자들의 적정임금을 보장해 과로·과적·과속을 방지하겠다는 취지로 2020년 도입된 제도로, <font class="font7" style="color:red; font-size:10.0pt; font-weight:400; font-style:normal; text-decoration:none; font-family:'맑은 고딕', monospace; mso-font-charset:129;">화물차주와 운수 사업자가 지급받는 최소한의 운임을 보장하는 것<font class="font6" style="color:black; font-size:10.0pt; font-weight:400; font-style:normal; text-decoration:none; font-family:'맑은 고딕', monospace; mso-font-charset:129;">이다. 이는 수출입 컨테이너·시멘트 품목에 한해 2020년 시행돼 2022년까지 3년 일몰제로 도입됐다. 그러나 2022년 6월 화물연대가 안전운임제 연장 등을 요구하며 총파업에 들어갔고, 파업 7일 만에 국토교통부와 화물연대 측이 안전운임제를 연장 시행하는 방안 등에 합의했다. 정부와 화물연대의 협상을 통해 파업은 철회되었지만 양측이 합의문을 해석한 내용에는 차이가 있어 여전히 갈등의 불씨가 남아있다. 배움자격증센터에서는 보다 쉽게 시사경제용어를 외울 수 있도록 영상으로도 전달드립니다.영상 보러가기 ▶
2022.07.06